카테고리 없음

[연금펀드] TDF (Target Date Fund)

walkwalk 2022. 5. 27. 14:01
320x100

TDF (Target Date Fund)

TDF 는 재작년부터 관심을 갖고 지켜 보고 있는 펀드 중 하나입니다.

생소한 이름이라 아직은 펀드 설정액도 크지 않고 투자자들 역시 낯설기는 만찬가지죠..

나도 아직 확신을 갖고 있지 않아 고객에게 권하지는 않고 펀드 트래킹만 하고 있으니까...

그래도 내 돈으로 10~20만원씩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펀드 트래킹 하려면...

내 돈으로 직접 펀드에 투자하여 트래킹을 2~3년 해 보고 확신이 서면 그 때부터 고객에게

추천을 하고 믿고 해도 될만한 펀드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TDF가 어떤 펀드인지는 삼성투자자산 홈페이지에 자세한 설명이 되어 있어 해당 자료를

스크랩해 두었으니 궁금한 분들은 자세히 읽어 보면 될 듯 하구요.

펀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이해가 어려운 분들을 위해 간략하게 설명을 하자면...

노후대비, 연금자산 등 목적으로 가입을 시키기 위한 펀드이고

운용방식은 가입자의 은퇴시점을 기준으로 역계산하여 투자비중을 나이에 따라 주식비중과

채권비중을 조절하여 운용하는 방식의 펀드입니다.

그리고 투자하는 대상은 국내펀드에 국한하지 않고 글로벌 투자대상 자산에 모두 투자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펀드입니다..

투자대상을 글로벌 투자자산으로 넓힌 측면에선 15년전쯤에 미래에셋에서 판매했던 인사이트

펀드랑 비슷하고, 가입자의 나이에 따라 투자비중에서 주식비중과 채권비중을 조절하는 측면에선

투자 권유시 언급하는 이론(100세 - 나이 = 투자자산 비중)이라는 개념을 접목시킨 펀드입니다.

TDF 펀드들은 상품 이름에 2025 2030 2035 2040 2045 등 숫자가 표시가 되는데요.

표기된 숫자가 가입자의 은퇴 년도 또는 연금자산의 목표시점을 뜻한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가령, 1980년생이 본인의 은퇴 나이를 60세로 가정한다면 1980년+60세 = TDF2040 이 본인

에게 적합한 노후연금/퇴직연금용 펀드라고 추천하는 그런 식입니다.

만약 1960년생이 65세를 은퇴 나이로 한다면 1960년+65세 = TDF2025 가 본인에게 적합한

노후연금/퇴직연금용 펀드가 되겠죠..

그럼 두 TDF 2040과 2025 펀드의 차이가 무엇일지 궁금할텐데요...

TDF 펀드의 운영방식은 이름에 표기된 년도를 가입자의 은퇴시점이라고 생각하고,

그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많이 남을수록 주식투자 비중을 높게 가져가고..

TDF에 표기된 년도에 가까울수록 은퇴가 가까워진 것이니 채권비중을 높게 가져하는 방식으로

안정적인 운용을 하게 됩니다.

투자의 기본이론 100세 - 본인나이 = 위험자산/투자비중 의 이론대로 본인이 직접 젊어서는

주식비중이 높은 펀드 위주로 펀드투자를 하고, 나이가 들어 은퇴시점이 가까울수록 채권펀드

중심으로 투자비중을 가져가면 효과는 마찬가지 입니다. 즉 굳이 TDF를 가입할 필요는 없죠.

다만, 이런 식으로 본인이 직접 투자비중을 조절해 가면서 펀드투자를 할 수 있는 일반인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펀드 운용사가 대신 그런 방식으로 운용을 해 주겠다 라는 개념의 펀드죠.

또 한가지 측면에서 주목할 부분은 펀드 종류가 수 천개에 이르다 보니 펀드 지식이 많은 사람도

펀드 선택과 그 성과에 어려움을 겪는게 사실입니다.

그런데 TDF는 일반펀드처럼 특정 국가나 특정 투자자산에 국한하여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니라

운용사의 판단하에 글로벌 투자자산과 펀드에 분산하여 투자를 함으로써 가입자가 어떤 펀드를

선택할지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한 마디로 펀드에 무지한 사람도 노후대비 연금자산/퇴직연금 운용을 하고자 할 때 해당 펀드에

가입하면... 운용사가 알아서 가입자의 은퇴시점에 따라 투자대상과 투자비중을 적절히 조절하여

운용해 주겠다 라는 그런 펀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말대로만 되면 정말 금상첨화이고, 펀드투자했다가 수익이 벤치마킹 수익률 보다 미미하거나

손실을 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굉장한 희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퇴직연금의 시행으로 의무적으로 퇴직연금이 도입된 기업의 가입자들과 노후연금을 증권사

연금저축계좌로 준비하는 가입자에겐 매우 주목할만한 펀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글로벌 증시가 호황이라서 지금까지의 TDF 펀드들의 성과가 국내 펀드들 보다는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어 아직 큰 하락 글로벌 증시 침체기에 어떤 성과를 내는지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으로 인해 TDF 투자시에는 신중을 기할 필요는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새로운 펀드가 아니라 기존에 존재하던 펀드투자 방식과 이론을 하나의 펀드에

도입한 형태이기에... 기본적으로 글로벌 증시가 침체하게 되면 수익률 측면에서 영향을 받는 것은

기존처럼 개별 펀드를 따로 가입한 경우와 다를바 없을 것이라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증시 침체기에 TDF 펀드들이 어떤 성과를 보이는지 검증을 거쳐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증권사와 운용사가 광고하듯이 출생년도에 은퇴 나이만 더해서 적합한 TDF 를 선택하면 될지,

아니면 TDF 펀드들간 조합을 하는게 더 나은 방식이 될지가 결론날 듯 합니다.

전자가 되었든 후자가 되었는 매우 메리트 있는 펀드인 것은 맞습니다.

전자가 되면 일반가입자들은 신경쓸 일 없을 것이고, 후자가 된다면 조금 신경을 써야 하지만

기존 개별 펀드들을 나이에 따라 일일히 펀드 포트폴리오 구성을 해서 투자하는 방식 보다는

조금더 진화된 간편한 방식으로 가능할 것이라는 점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둘 필요는 있습니다.

아래는 TDF에 대한 삼성투자자산운용사의 홈페이지에 설명된 자료입니다. ( 출처 : 삼성투자자산운용사 홈페이지)

연금투자,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회사가 하라니까 해야지'하는 분위기였기 때문에 큰 관심이 없었어요.

귀찮아요. 신경쓰기도 귀찮고, 알아보는 것도 귀찮아요.

그래도 노후자금인데 절대 마이너스나면 안되죠.

금융상품에 대해 잘 몰라서 투자하기가 어려워요.

* 출처 : 중소기업 퇴직연금 DC형 가입 회사의 사용자 및 근로자 정성조사,'16년 1월, 삼성자산운용

조사 결과, 많은 직장인들이 퇴직연금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하고 관리도 잘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래서 TDF(Target Date Fund)가 필요합니다.

TDF는 투자자의 은퇴시점을 Target Date로 하여 생애주기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알아서 조정(Glide Path)하는

자산배분 펀드입니다.

한 번 펀드상품을 선택하면 전 생애주기에 걸쳐 적극적인 투자에서 안정적인 투자로 리밸런싱합니다.

TDF는 연금 투자가 활성화된 금융선진국 미국에서 2000년대 이후 가장 각광받는 은퇴준비 상품이기도 합니다.

투자자가 나이 들어감에 따라 보유 자산의 형태와 구성도 달라지므로, 생애주기에 따라 자산관리에도 변화를 주어야 합니다.

연금투자는 초장기(超長期) 투자이므로, 다양한 지역과 자산에 분산투자하여 불확실성을 관리하면서도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모든 투자자가 투자 전문가일 수 없고 개인의 일상이 바쁘기 때문에 펀드가 알아서 주기적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주식/연금/펀드 투자상담사]

- 동부증권 거래고객 대상 펀드투자상담(유료/무료)

상담 09:00~19:00 카카오톡 ID : ggKnights

E-mail :career.jb.lee@gmail.com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