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20x100

세금이야기

[소득신고] 연금저축, IRP 세액공제의 세율 12%와 15%? 불입한도는? 연금저축, IRP 세액공제의 세율 12% 와 15%? 불입한도는? ​ 아래는매년 연말정산하는 근로소득자와 5월 사업소득을 신고하는 종합소득자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용어들입니다. ​ 소득세 : 대한민국 국민이면 1년 동안 벌어들인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기타소득에 대하여 나라에 내는 돈 연말정산 : 원천징수를 하고 소득을 지급 받은 근로자 및 사업소득자가 소속 회사를 통해 먼저 징수한 소득세와 실제 납부할 소득세를 정산하는 절차 소득공제 : 소득세 신고자가 나라에서 정한 항목의 지출에 대해선 소득신고자의 세전 소득금액에서 공제(차감)해 주는 것 세액공제 : 소득세 신고자가 나라에서 정한 항목의 지출에 대해선 연말정산으로 납부할 실소득세액에서 공제(차감)해 주는 것 ​ 4가지 용어의 의미에 대해 기본.. 더보기
[소득신고] 근로소득공제 자동계산기 근로소득공제 자동계산기 - 첨부화일 엑셀 다운로드 받아서 본인의 총 급여액(비과세 소득제외)을 입력하면 근로소득공제액과 과세대상 소득금액이 자동으로 산출되는 계산기 이 계산기가 언제 필요하냐면 연말에 소득공제과 세액공제 챙길 때 필요합니다. 근로소득의 경우 회사나 세무사무실에서 자동으로 계산해 주기 때문에 사실 개인이 계산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본인이 절세 연말정산 환급을 딱 맞춰서 챙기고 싶다면... 연말이 지나기 전에 본인이 낼 세금을 정확하게 산출하여 필요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항목을 12/31일이 지나기 전에 챙겨야 해당년도 절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당해년도의 과세대상 소득금액을 연말정산 해주기 전에 미리 알아야 어느 정도 절세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할 지 가이드라인이 생겨서 해가 바뀌기 전에.. 더보기
[소득신고] 2021년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어느 것이 더 유리할까? 2021년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어느게 더 유리할까? ​ case by case. but, 일반적으로 고액연봉자의 경우는 소득공제가 유리하고, 저연봉자의 경우는 세액공제가 유리합니다. 물론 소득공제 되는 비율과 세액공제되는 세율에 따라 case by case 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가령... 소득구간이 1200만원 이하인 사람은 ​적용세율이 6%이기 때문에 소득공제를 받는 것보다는 세액공제를 받는게 유리합니다. 이유는 대부분의 세액공제 세율이 10%~15%이기 때문이죠. 무슨 말이냐 하면, 500만원을 소득공제 받았을 때 저소득자는 6%의 세금(30만원 )을 절세하지만 500만원을 10~15% 세액공제를 받게 되면 50만원~75만원을 절세하게 됩니다. 그래서 저소득자는 연말정산을 대비할 때 소득.. 더보기
[소득신고] 2021년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2021년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 변동사항 - 월세 세액공제 대상 근로소득자의 종합소득금액 하한선을 4천만원에서 4천5백만원으로 상향 ​ - (대상자) 총급여액 7천만원 이하의 무주택 근로소득자 *근로소득자 중 종합소득금액이 6천만원 이하인 자 포함 ​ - (공제율) 12%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 근로소득자 중 종합소득금액이 4천 5백만원 이하인 자 포함 - (공제율) 10%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7,000만원 이하 * 근로소득자 중 종합소득금액이 4천 5백만원 초과 6천만원 이하인 자 포함 ​ - (공제대상 월세액 한도) 연 750만원 더보기
[소득신고] 2021년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세율, 결정세액 계산 2021년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세율, 결정세액 계산 -2021년부터는 종합소득세율 과세표준 중 '10억원 초과 세율 45% '구간이 신설되었습니다. 본인의 신고소득에서 소득공제 금액을 차감한 이후 아래의 소득구간에 해당하는 세율을 곱하면 본인이 해당 년도에 납부할 결정세액이 됩니다. 2021년 종합소득세율 개정 내용 과세표준구간 세율 누진공제(원) 1,200만원 이하 6% 0 1,200만원 초과~4,600만원 이하 15% 1,080,000 4,600만원 초과~8,800만원 이하 24% 5,220,000 8,800만원 초과~1.5억원 이하 35% 14,900,000 1.5억원 초과~3억원 이하 38% 19,400,000 3억원 초과~5억원 이하 40% 25,400,000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 42%.. 더보기
[연말정산] 근로소득공제 계산하기 근로소득공제란 - 근로소득에 대한 과세표준을 계산하기 위하여 총급여액에서 일정금액을 공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세전 연봉에서 근로자의 세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총 급여액(세전) 기준으로 일정금액을 공제하여 과세를 하지 않는 조세 정책의 하나입니다. ​ - 일용근로자의 경우는 일 근로수당에서 일 10만원을 공제하는 것으로 하고 있습니다. 근로소득공제 계산하기 (급여생활자) 총 급여액(세전) 공제액 500만원 이하 총 급여액 * 0.7 1500만원 이하 350만원 + (총 급여액 - 500만원) * 0.4 4500만원 이하 750만원 + (총 급여액 - 1500만원) * 0.15 1억원 이하 1200만원 + (총 급여액 - 4500만원) * 0.05 1억원 초과 1475만원 + (총 급여액 - 1억원) * 0... 더보기

반응형